[이슈현장] 전세 사기 피해자 '급증'…경찰, 6개월간 특별 단속<br /><br /><br />최근 전세 사기 피해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서민 피해가 집중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전세 사기 피해를 막을 방법은 없는지, 전세 계약 시 주의 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 외 주요 사건 소식까지, 이승운 변호사와 함께 자세히 알아봅니다.<br /><br /> 최근 전세 사기로 피해 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 특히, 서민들에게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고 하던데요. 최근, 전세 사기 실태는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대표적인 전세 사기 유형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면 사기 피해를 좀 막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. 보통 전세 사기는 어떤 방식으로 이뤄집니까? 사례가 있다면 함께 설명해주시죠.<br /><br />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해, 법적으로 여러 장치가 마련돼 있긴 합니다만, 부동산 계약이 워낙 복잡하기도 하고요. 사실 현행법의 허점을 악용한 사기 수법도 많지 않습니까? 임차인이 전세 사기를 막으려면, 어떤 부분들을 주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전세 사기가 늘어나면서 윤 대통령도 강력 단속을 지시했고요. 이번 달부터 경찰도 특별 단속에 들어간다고요?<br /><br /> 스타벅스가 커피 열일곱 잔을 구매한 고객에게 '가방'을 증정했는데요. 이 가방에서 발암 물질인 '폼알데하이드'가 검출돼 논란이 일었습니다. 어제 스타벅스가 공식으로 사과했죠?<br /><br /> 피해 고객들이 궁금한 점, 보상 방안일 텐데요. 스타벅스가 이미 공식 사과 이전에, 가방을 가져오면 음료 세 잔으로 바꿔주고 있었거든요. 그 외에도 추가 피해 보상안이 나왔습니까? 소비자가 스타벅스 측에 법적 책임을 물으려면,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그런데요. 현행법상 가방은 유해 물질 기준치가 없다는데, 이게 어떤 얘깁니까? 가방에서 유해 물질이 나와도 법적 처벌은 어렵다는 건가요?<br /><br /> 이번 사태로 스타벅스의 굿즈 마케팅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 사실 과도한 굿즈 마케팅으로 스타벅스 직원들이 불만을 제기하며 시위를 벌이는 일도 있지 않았습니까?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다음 소식으로 넘어가 보죠. 내기 골프로 수천만 원을 사기 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. 마약까지 이용을 했다고요?<br /><br /> 이런 사건의 경우 처벌은 어떻게 됩니까? 사건 내용을 보면 마약에 도박에 사기까지 있는데요?<br /><br /> 마약청정국이란 말은 이제 옛말인 것 같습니다. 이달 초에도 강남 유흥주점에서 마약 관련 사건이 있었죠. 여성 종업원이 사망을 했고요. 동석한 손님도 차 안에서 사망했고. 이 차량에서 2천여 명분의 마약이 발견됐었죠. 이 마약을 유통한 일당이 검거됐다고요?<br /><br /> 혹시 해당 사건 경위에 대해 추가로 밝혀진 내용은 없나요? 수사 상황,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?<br /><br />#전세사기 #임차인보호 #스타벅스 #폼알데하이드 #내기골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